<사실은 이렇습니다> - 경기일보 「‘김포골드라인’ 바람 잘 날 없어…이번엔 직원들 ‘입막기’ 보안서약 요구」(2025.6.18. 17:03)
사실은 이렇습니다.
- <사실은 이렇습니다> - 경기일보 「‘김포골드라인’ 바람 잘 날 없어…이번엔 직원들 ‘입막기’ 보안서약 요구」(2025.6.18. 17:03)
- <사실은 이렇습니다> 경기일보 「김포시 산단정책 표류…“입지선정 실패·특정 산단 무리한 추진”」 (2025-06-24 14:58) 외 1건
- <사실은 이렇습니다> 경기일보 「김포 고촌 개발 ‘무산’… 사업시한 21일 이전 GB 해제·지구 지정 실패」(2025. 6. 13 15:10)
많이 본 뉴스
-
1
‘김포-서울’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예타조사 통과
-
2
(재)김포시민장학회, ‘2025년 장학증서 수여식’ 성료
-
3
[김포시 민선8기 3년 ⓶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]경기도 변방에서 글로벌 도시로, 모두가 살고 싶은 김포로
-
4
[일 잘하는 민선8기, 원팀 김포]김포시청소년재단, 청소년공간 확충으로 이용률 2000% 급증 이끌어
-
5
‘대변혁의 김포, 새로운 도약 이끌’ 김포한강2콤팩트시티 주도적 조성 순항
-
6
김병수 시장, 주민총회 통한 지역민 소통 적극 나서
-
7
김포시, 70C/D번 버스 정규 노선 전환에 대호응…감사 표현 이어져
-
8
김포시,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 준비를 위한 읍면동장 긴급회의 개최
-
9
애기봉에 비무장지대(DMZ) 문화관광해설사 40여명 모여…새로운 관점의 비무장지대(DMZ) 논의
-
10
[일 잘하는 민선8기, 원팀 김포]김포산업지원센터, 민선8기 3년간 45억원 유치 성공
<사실은 이렇습니다> - 경기일보 「‘김포골드라인’ 바람 잘 날 없어…이번엔 직원들 ‘입막기’ 보안서약 요구」(2025.6.18. 17:03) <보도> (상략) 문제는 서약서 작성 요구 시점이다. 골드라인 직원들과 노조 측은 최근 서울 신림선 중정비와 관련해 시의회의 집행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 직후로 시가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.(하략) <바로잡음> 경기일보의 본 보도는 사실무근의 추측성 허위보도이므로, 이에 사실을 바로잡고자 합니다. (1) 김포시는 경기일보의 보도와는 달리, 김포시와 김포골드라인SRS(주)간 「김포골드라인 운영 및 유지관리 민간위탁 협약」 에 따라 김포시는 노사간의 협의건에 개입하지 않으며, 시는 공공기관으로서 이를 위반한 적이 없음을 분명히 합니다. (2) 경기일보가 보도한 서약서 작성 요구 시점은 사실과 다릅니다.김포골드라인SRS㈜ 사측이 직원 대상으로 보안서약서 작성을 요구한 최초시기는 김포시의회 행정사무감사 6월 5일 이전인 6월 2일임에 따라 노사간 보안서약서건에 대해 김포시가 5일 직후부터 개입했다는 의혹은 시기상 성립될 수 없습니다. (3) 김포골드라인SRS(주)에 따르면, 보안서약서는 회사에 입사할 때마다 작성하던 서류중 하나였고, 2024.09.28. 이후 입사한 직원들은 전부 작성하였으나 전 운영사로부터 고용승계된 일부 작성하지 않은 직원들이 있었기에 대상을 선별하여 작성하기보다는 전 직원 작성으로 회사 방침을 정하였을 뿐이지 김포시 행정사무감사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사항입니다. (4) 김포시는 6월 18일 오전 9시경 경기일보사 기자와의 유선 인터뷰시 “김포시는 김포골드라인의 안정적인 운행을 관리할 뿐 고용 등 노사관계에는 일절 관여하지 않는다”고 답변하였음에도 불구하고, 김포골드라인 노사 분쟁건에 대한 김포시의 개입 의혹 취지의 내용을 기재하였습니다. 기관간 입장과 사실관계 진위여부에 대한 확인없이 보도하였음에 유감을 표합니다. |